전자납부번호는 지방세, 세외수입, 환경개선부담금 등 다양한 공과금 납부 시 사용되는 고유번호입니다. 이 번호를 통해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ATM 등을 이용해 간편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는데요. 전자납부번호 납부 방법 조회 모를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전자납부번호란
전자납부번호는 납부고지서에 기재된 19자리 숫자로, 세금이나 과태료, 공공요금 등 다양한 공과금을 납부할 때 사용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.
납부자가 고지 내역을 조회하고 납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데요. 전자납부번호를 통해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ATM 등을 이용해 간편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.
간편하게 공과금을 낼 수 있고, 본인이 아니어도 납부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입니다. 24시간 언제든지 납부할 수 있으며, 별도의 이체 수수료등이 발생하지 않습니다.
부여된 전자납부번호를 모를때가 있는데요. 인터넷 조회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전자납부번호 납부 방법 조회 모를때 방법 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전자납부번호 조회방법
전자납부번호 모를때에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다시 조회가 가능합니다.
청구기관 문의
전자납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, 해당 청구기관에 문의하여 전자납부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청구기관은 고지서를 발행한 기관으로, 지방세청, 세무서 등이 포함됩니다.
인터넷 지로 통합 납부 서비스
인터넷 지로 통합 납부 서비스 웹사이트(https://www.giro.or.kr)를 통해 전자납부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이 서비스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며, 로그인 후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여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1. 사이트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합니다. 회원가입을 원치 않는 경우, 왼쪽 상단에 있는 [비회원납부서비스]를 클릭합니다.
2. 메인화면의 [공과금 통합조회]에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.
3. 인증서 인증을 완료하면 결과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모바일 지로 앱
모바일 지로 앱을 통해 전자납부번호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. 앱을 다운로드한 후 로그인하여 '조회/납부' 메뉴를 통해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고 고지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외에도 고지서를 분실한 경우, 청구기관에 요청하여 고지서를 재발급받을 수도 있습니다. 재발급된 고지서에는 전자납부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.
또는 은행의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통해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여 고지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전자납부번호 세금 납부 방법
전자납부번호를 사용하여 세금을 납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
먼저 인터넷지로 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 조회 및 납부할 수 있습니다. 그밖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요.
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인터넷뱅킹 사용
- 은행 웹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. 공인인증서를 통해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
- '공과금' 메뉴를 선택하고, '지방세' 또는 '지방세납부' 등의 하위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'전자납부번호 납부'를 선택한 후,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합니다.
- 납부할 계좌를 선택하고, 계좌이체를 통해 세금을 납부합니다.
- 모바일뱅킹 사용
- 모바일뱅킹 앱을 열고 로그인합니다.
- '공과금' 메뉴를 선택하고, '지방세' 또는 '지방세납부' 등의 하위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'전자납부번호 납부'를 선택한 후,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합니다.
- 납부할 계좌를 선택하고, 계좌이체를 통해 세금을 납부합니다.
- ATM 사용
- 가까운 은행 ATM을 방문합니다.
- '공과금 납부' 메뉴를 선택하고, '지방세' 또는 '지방세납부' 등의 하위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고, 납부할 계좌를 선택하여 세금을 납부합니다.
마치며
이상 전자납부번호 납부 방법 조회 모를때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전자납부번호를 사용하면 세금 납부가 간편해지고,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.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ATM 등을 통해 쉽게 전자납부번호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으며, 타인 납부도 가능합니다.
범용공인인증서 발급 방법 수수료 안내
범용공인인증서는 전자거래, 인터넷뱅킹,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인증서입니다. 개인과 법인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, 특히 보안이 중
goodinfo-123.tistory.com
댓글